본문 바로가기

웹툰정보

웹툰 선화가가 하는 일 (2)웹소설 각색검토

 

웹툰 선화가가 계약서를 쓴 후

바로 원고에 들어갈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원고를 해야 수입이 들어오므로

적어도 계약 후 금방 원고를 할 수 있게 될 거라 예상했지만 ...

 

사전 작업이 적어도 한달에서 두달정도는 소요된다.

웹툰 그림작가를 위해서만 준비해왔다면

그 몇달사이에 생계에 지장이 생길수도 있으므로 다른 수입원을

유지하는게 좋을 것 같다. (계약 후 들어오는 계약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는 사람에 따라

웹툰 그림작가가 된 뒤 하게 될 일에 대해 순서대로 미리 알아볼 수도 있고,

실제 수입이 언제부터 들어오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웹툰 선화가가 계약서를 쓴 후 하게되는 일

웹툰 선화가는 기본적으로 작화가와 같이 원고의 '그림체'를 제공하는 일이다.

때문에 원고와 캐릭터 설정, 기획안을 전달받는다. 

 

 

썸네일을 위한 포폴용 이미지 1

1. 원고 검토 및 기획안 숙지

1) 최종흑막까지 알게되는 원고 검토

노블코믹스 기준 원고를 먼저 검토하게 된다.

 

이 기간에는 사람에 따라 몇주의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원작을 읽는 속도나, 다른 일정과 조율하여

원고를 검토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 기간에 하는 원고 검토란

공개되어있는 웹소설 뿐만 아니라, 원고의 결말이 났다면 최종흑막까지 알게되고,

이를 통해 이후 작업(캐릭터 디자인,원고의 떡밥) 등에 참고를 위해 꼼꼼히 읽게 된다.

 

나는 필기를 하면서 내용을 숙지했는데,

주로 10화분량을 기점으로 굵직한 사건들과

주요 인물들의 러브라인, 감정선등을 메모해놓았다.

 

그리고 원고를 할 때마다

세부적인 설정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면

다시 그 장을 꺼내 읽어볼 수 있도록 했다.

 

 

2) 이 웹툰의 셀링 포인트를 알게되는 기획안 검토

기획안에는 웹툰화하게 될 원작가와

웹툰 글작가/웹툰 그림작가의 필명이 쓰여있다.

 

그와 함께 작품의 로그라인,

주요 사건 (기승전결) 을 통해

이 웹툰이 제공하는 가치가 적혀있다. (셀링 포인트)

 

즉, 말그대로 기획의도가 적혀있으므로,

이후 작업을 하게 될때마다 꺼내보며

그림이 기획의도와 방향을 같이하고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획안에 맞는 디자인을 할 때

좋은 피드백이 오면 무척 뿌듯했다.

사전작업이 꼼꼼할수록 작품을 하면서

얻게되는 보람도 크게 되는 것 같다.

 

셀링포인트에는 여러개가 적혀있는데,

이는 원고의 완급조절에도 참고사항이 된다.

더욱 힘줘야할 부분과 힘을 빼도 될 부분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주인공의 성장이 중요한 셀링 포인트라면 주인공의 심경변화가 드러나는 컷에

더욱 힘을 주어 시선이 집중되도록 해주는 식이다.

나는 이런식으로 기획안을 참고하고 있다.

 

 

오늘은 웹툰 선화가가 하는 일 2에 대해 적어보았다.

다음은 캐릭터 디자인과 원고 선화에 대해 적어봐야겠다.

 

오늘 포스팅으로 선화/작화가가 하는 사전작업에 대해

어느정도 가늠하는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작업 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좀 더 필요하다면

노새 포스타입을 참고해주세요 🐮✨

https://work-nosae.postype.com/post/16380986

 

웹툰 선화가 되는 법_3.작화테스트 : 포스타입 포스트

서류에 합격하면 작화테스트를 제안받습니다. 몇 번의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생긴 인사이트들을 공유하면서 저도 스스로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았어요. 제가 경험한 작화 테스트 종류는 캐릭터

work-nosae.postype.com


 

 

 

 

블로그 글은 10-20분안에 글을 쓰는 것을 목표로 해서,

다음 글은 다음주에 써야할 것 같다. 마감을..마감을 해야한다 !!!